코로나 창궐로 인한 가장 큰 피해자는 국민들이다. 거기에다가 거리두기 방역지침으로 자영업자들은 직격탄을 맞았다. 종로거리와 명동일대만 보더라도 거의 파산상황에 직면했음을 알 수 있다.
그동안 K방역을 자랑하며 세계에서 가장 앞선 치료제를 만들겠다고 문대통령이 직접 바이오 관련기업 제조공장까지 방문했다. 셀트리온 등에게 국민혈세가 지원된 규모는 실로 어마어마했다. 천문학적인 지원 규모와 배경으로 친(親)정권 기업에 대한 특혜 아니냐는 소문까지 나돌 지경이었다.

당시 마스크 제조·유통 등으로 엄청난 수익을 올렸다고 알려진 ‘지오영’이라는 듣보잡 회사와 함께 의혹의 시선을 한껏 받았던 기업이 바로 셀트리온(회장 서정진)이다.
충북 청주 등에 제조공장을 두고 있는 셀트리온은 바이오 관련업종으로 일약 30대 기업그룹에 진입했을 정도로 화제를 모았던 회사다. 노무현 정권 시절부터 정관계에 탄탄한 인맥형성 및 정치권과 관련해서도 막대한 영향력을 가졌던 것으로 알려진 셀트리온 서정진 회장은 재계의 떠오르는 별중의 별이라는 부러움을 한 몸에 받았던 인물이다.
이런 회사가 코로나 팬데믹을 맞아 바이오 회사의 진가를 제대로 발휘해 줄 것으로 기대를 모았던 것도 사실이다. 코로나 창궐이후 국민적 고통이 더해 갈 때마다 셀트리온은 각종 백신과 치료제 개발 등의 언론보도를 통해 주목을 받았지만, 정작 국민적 요구가 절실히 필요한 시점에 혈세 투입의 효과 대비 낙제점이라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보건복지부에 재직했던 공무원 A씨는 “치료제만 믿고 있다가 백신확보에 실패했던 전례는 상당히 뼈아픈 것”이라며, “국민혈세의 지원과 기대치에 비해 바이오기업들의 성과는 현저하게 낮았다”고 언급했다.
국가전략포럼 이강호 연구위원은 “국고탕진이라는 비판에서 자유로울 수 없는 기업들이 많다. 소위 親정권 기업으로 알려진 셀트리온과 같은 기업에 대한 철저한 감사가 요구된다”고 주장했다.
이 · 상 · 만 <취재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