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영세 통일부 장관은 27일 최근 북한의 핵무기 개발 추세로 미뤄볼 때 "북한이 미국을 상대로 한 공격력과 대한민국을 상대로 한 공격력을 동시에 갖기를 바라는 것으로 생각한다"고 평가했다.
권 장관은 이날 오후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서울외신기자클럽(SFCC) 초청 간담회에서 관련 질문에 "(북한이 개발하는) 탄도미사일의 레인지가 '롱 레인지'에서 '쇼트 레인지'로 바뀌는 부분, 그리고 전략핵에서 전술핵으로 바뀌는 부분으로 미뤄볼 때 타깃이 대한민국을 겨냥한 거라고 볼 수 있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그는 "그런 점에서 북한 핵이 대한민국을 겨냥하는 게 아니라고 했던 분들은 틀렸다고 지적하고 싶다"고 덧붙였다. 다만 "북한이 전체적으로 미국을 상대로 이런 무기들을 개발하는 데서 대한민국을 상대로 한 것으로, 전반적인 (무기 개발 방향이) 바뀌었다고 판단하기는 이르다"면서 "최근 (무기) 테스트의 중점이 단거리로 옮겨졌다고 북한 전략의 근본적 변화가 생겼다고 보긴 어렵다"고 판단했다.
북한이 최근 당 중앙군사위원회 확대회의에서 전방부대의 작전임무를 추가하며 대남 전술핵무기 최전방 배치를 암시하는 등 대남 강경 기조를 보인 것이 9·19 남북 군사합의 파기로 이어질 수 있다고 보느냐는 질문엔 "중앙군사위에서 결정된 내용들도 9·19 군사합의 정신에는 위반된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그러나 권 장관은 "대한민국을 주로 겨냥한 부분이 어떤 면에서는 대한민국과 대화를 곧 할 수도 있겠다는 기대 섞인 희망도 해본다"고 말했다.
이미 '물리적 준비'는 완료된 7차 핵실험의 구체적 시행 시점에 대해선 "한 문장으로 정리하면 모든 준비는 완료됐고 정치적 결단만 남았다"고 평가했다.
그런데도 북한이 왜 핵실험을 강행하지 않는지는 분명한 이유를 알 수 없다며 "북한도 나름대로 핵실험으로 인한 효과를 극대화하고자 국내외 정세를 보고 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권 장관은 그러면서 "북한에 대해 많은 영향력을 가지고 있다고 평가되는 중국과 국제사회가 북한이 핵실험을 자제하도록 계속 충고할 필요가 있다"고 당부했다.
김 · 도 · 윤 <취재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