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조선중앙통신은 30일 국제정치연구학회 연구사 김동명이 발표한 '나토 사무총장의 행각은 아시아판 나토 창설을 부추기자는 것인가' 글을 게재하며, 옌스 스톨텐베르그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사무총장의 방한을 "아시아·태평양(이하 아태) 지역에 '신냉전'의 불구름을 몰아오는 대결 행각이자 전쟁의 전주곡"이라고 비난했다.
김 연구사는 스톨텐베르그 사무총장을 겨냥해 "미국과 서방의 땅크제공 결정으로 우크라이나 사태가 새로운 고비를 맞고 있는 때에 남조선과 일본에 날아든 나토사무총장이 이번에도 그들에게 '중국위협론'을 부단히 불어넣으며 '아시아판 나토' 창설의 필요성을 재삼 강조하고 대 우크라이나군사지원에 소극적으로 나서고 있는데 대해 단단히 신칙하고 압을 가하리라는 것은 불보듯 명백하다"고 강변했다.

앞서 전날 한국에 입국한 스톨텐베르그 사무총장은 박진 외교부 장관과 만나 "북한이 러시아에 로켓과 미사일 등 군사적 지원을 하고 있다"며 "자유와 민주주의, 규칙기반 국제 질서를 믿는 국가들의 결속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북한은 지난 27일 김여정 노동당 부부장 담화와 29일 권정근 외무성 미국담당 국장 담화를 통해서도 미국의 우크라이나 탱크 지원 계획을 맹비난했고, 김 연구사 역시 미국의 우크라이나에 전차제공 결정도 비난하면서 한일의 우크라이나 지원 가능성을 경계했다.
한편 김 연구사는 나토가 지난해 스페인 마드리드 정상회의에 한국 등 아태 4개국을 처음으로 초청하고 러시아를 '가장 중대하고 직접적인 위협'으로, 중국을 '체계적인 도전'으로 명시한 '2022 전략개념'을 채택한 것 역시 문제 삼았다.
김 · 성 · 일 <취재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