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징용해법, "피해자 입장 존중·한일공동이익 부합 모색 결과"

- 관계 부처의 신속한 후속 조치 지시

 

윤석열 대통령은 7일 정부의 일제 강제징용 배상 해법과 관련하여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국무회의 모두발언을 통해 "그동안 피해자 입장을 존중하면서 한일 양국의 공동 이익과 미래 발전에 부합하는 방안을 모색해온 결과"라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국무위원들에게 "양국의 미래 지향적 협력을 위해 양국 정부의 각 부처 간 협력 체계 구축과 아울러 경제계와 미래 세대의 내실 있는 교류 협력 방안을 세심하게 준비하고 지원해 주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윤 대통령은 지난 3·1절 기념사를 상기시키며 "일본은 과거 군국주의 침략자에서 지금은 우리와 보편적 가치를 공유하고 안보, 경제, 과학기술, 글로벌 의제에서 협력하는 파트너"라고 거듭 강조했다.

 

특히 "우리 국민의 방일은 코로나 전인 2018년 연간 753만 명이었고, 한일관계가 악화한 2019년에도 558만 명에 달했다"고, 아울러 "일본 국민의 방한은 코로나 전인 2019년 327만 명에 달했다"며 "일본 국민은 코로나 여행 규제가 풀리면 가장 가고 싶은 나라 1위로 한국을 꼽고 있다"고 했다.

 

윤 대통령은 "한일 교역 규모는 우리나라 전체 교역 규모에서 6∼7%에 이르고 우리 기업에 대한 외국인 직접 투자는 일본과 일본 기업의 투자 규모가 전체의 22%를 넘는다"고 덧붙였다.

 

한편, 윤 대통령은 국가보훈처의 보훈부 승격에 대해 보훈부는 보훈 문화를 제대로 정립하고 이를 확산하는 데 주력해야 할 것이라고 주문했고, 외교부는 재외동포청 신설을 신속하게 추진하고 재외동포 보호와 지원 체계를 튼튼히 구축하길 바란다고 주문했다.

 

이 · 상 · 만 <취재기자>

핫 뉴스 &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