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님은 나를 낳아 주시고, 자연은 나를 키워 준다. 그런데 사람들은 부모님의 은공(恩功)은 감사하다고 표현하면서도, 자연의 은공(恩功)은 감사할 줄 모른다. 자연이라고 표현한 내용은 구체적으로 ‘공기와 물과 곡식’이다. 만약에 ‘공기가 없다면 · 물이 없다면 · 곡식이 없다면 어떻게 살 수 있을까? ‘깨끗한 공기 · 맑은 물 · 정갈한 음식’은 우리의 건강을 지켜주는 파수꾼이기도 하다. 우리가 육체적으로 건강(健康)하기 위해서는 뼈와 근육이 튼튼해야 하지만, 오장육부(五臟六腑)도 균형과 조화를 갖추어야 한다. 그 이유는 음양오행(陰陽五行)의 상생(相生) 이론으로 보면, 위장은 폐장을 도와주고 폐장은 신장을 도와주고 신장은 간장을 도와주고 간장은 심장을 도와준다. 상극(相剋) 이론으로 보면 심장은 폐장을 극하고 폐장은 간장을 극하고 간장은 위장을 극하고 위장은 신장을 극하고 있다. 이처럼 ‘오장육부’ 중에서 어느 한 기능만 작용해서도 안 된다. 서로 균형과 조화를 갖추어야 한다. 그래야만 피가 제대로 흐르고 피가 제대로 흘려야 기(氣)가 왕성하게 발산된다. 결국 기(氣)를 왕성하게 발산시키기 위해서 공기를 마시고 물을 마시고 음식을 먹어야 하는 이유이다. 그
우리는 평소 잘못된 정보를 통해 받아들여진 관념이나 다양한 유전적 정보와 생활 습관을 습(習)이라고 한다. 이 습은 일상생활에서 부딪치는 문제들을 본성에 비추어 근본적으로 해결하기보다, 임시방편적인 대응을 하며 본모습을 숨기려고 하면서 생긴다. 이런 버릇은 오랜 습관을 통해 겹겹이 쌓여서 잘 벗겨지지 않는데, 보통 사람은 이것을 지키는 것이 자신을 방어하고 지키는 것으로 여긴다. 선조들은 이러한 습관을 고치기 위해 어떤 노력을 했을까? 배달국 1세 거발환(居發桓) 환웅(桓雄)은 환국 말기에 새 역사 시대를 열면서 ‘만물을 낳고[天一 造化], 길러내고[地一 敎化], 다스리는[太一 治化] 우주의 원리’로 가르침을 베풀고, 백성들에게 인간 완성의 수행법으로 권선징악(勸善懲惡) 법을 펴면서 일상생활로 삼게 했다. 이런 가르침으로 환국 말기에 다스리기 어려웠던 족속들을 다스려 번성(蕃盛)하게 되었다. 고조선 시대 11세 도해(道奚) 단군은 하늘 · 땅 · 사람의 창조 정신과 목적이 담긴 염표문(念標文)으로 펼쳤다. 이 염표문에는 인류의 시원 국가인 환국으로부터 내려오는 문화의 진리를 깨달아 마음에 새기고 생활화하여 환국의 진정한 백성이 되라는 글이다. 도해 단군은 일
표준국어대사전에 '홍익인간'(弘益人間)은 “널리 인간을 이롭게 함. 단군의 건국이념으로서 우리 민족 정치·교육·문화의 최고 이념이다. 《삼국유사》 고조선 건국 신화에 나온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홍익인간(弘益人間) 사상은 천지인 사상에 근원을 둔 천부경의 핵심 사상으로, 홍익인간은 심신이 건강한 사람으로 참사랑을 실천하는 사람이다. 이런 사람들의 가치가 구현된 사회를 이화세계(理化世界)라 한다. 개개인이 홍익인간 정신을 펼치려면 어떤 조건을 갖추어야 할까? 첫 번째 조건은 건강(健康)해야 한다. 건강은 정신적으로나 육체적으로 아무 탈 없고 튼튼한 상태로 자기 몸의 에너지를 100% 활용할 수 있는 정도를 말한다. 인체의 감각을 깨우고 몸과 마음의 조화를 회복하는 것은 이러한 차원의 건강을 얻기 위함이다. 육체적인 건강이 유지되지 않는 사람은 본의 아니게 남에게 폐를 끼치게 된다. 두 번째 조건은 양심(良心)을 갖추어야 한다. 양심은 사물의 가치를 변별(辨別)하고 자기의 행위에 대하여 옳고 그름과 선(善)과 악(惡)의 판단을 내리는 도덕적 의식이다. 옳고 그름의 내용은 시대에 따라 다르고, 문화에 따라 다를 수 있겠지만 참 되고자 하는 의지는 보편적이다. 양
아침에 냉수 한 컵은 최고의 명약이다. 운동을 많이 하면 빨리 늙는다. 저혈압도 고혈압만큼 위험하다는 등 이런저런 건강비법이 전해져 오지만 이 속설에는 허점도 있다. 이런 건강 상식에 의존하기보다는 먼저 자신의 체질을 알아야 한다. 체질에 따라 같은 음식을 먹어도 어떤 사람에게는 중독이 되기도 하고 어떤 사람에게는 건강에 큰 도움이 된다는 것이다. 인체의 체질을 조선 시대 말 의학자 이제마(李濟馬)는 사상체질(四象體質: 太陽人 · 太陰人 · 少陽人 · 少陰人)로 구분하였으나, 한의사 권도원 박사는 1965년 동경 세계 침술 학술대회에서 팔체질의학(八體質醫學) 원리를 공개했다. 맥박으로 체질을 구분하면서 이 맥박을 음·양 목(陰·陽 木), 음·양 토(陰·陽 土), 음·양 수(陰·陽 水), 음·양 금(陰·陽 金)으로 8가지로 구분한 것이다. 우리나라 국민의 절반이 목 체질(木 體質)이라고 한다. 이 체질은 간(肝)이 실(實)하고 폐(肺)가 허(虛)한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간의 열을 식혀주고, 폐의 열을 높여줄 수 있는 쇠고기가 보약이라고 한다. 이 체질의 특징으로 음 목(陰 木)은 화장실에 자주 들락거리며, 양 목(陽 木)은 인상이 후덕하고 듬직해 보이는 것이
선조들은 ‘자신을 아는 사람이 가장 현명한 사람이고, 분수껏 사는 사람이 가장 행복한 사람이다.’라고 했다. 그렇다 ‘자기 안에 숨어있는 본성(本性)을 찾으려는 삶’ · ‘넘치지도 모자라지도 않게 사는 삶’이 가장 아름다운 모습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사람들은 자신의 몸에 관심(關心)을 가지지 않으면서, 그저 병들지 않고 행복하게 잘 살고 싶다고 한다. 과학의 발달로 주거환경과 생활환경이 편리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심신(心身)의 편안함과 건강을 통해 행복을 추구하는 웰빙(well-being) 문화가 널리 퍼지고 있다. 그런데 사람들은 자연환경이 나빠졌다는 것을 의식하면서도 인체 환경이 나빠진 것에 대해서는 소홀히 하고 있다.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주거환경과 인체 환경의 관리가 더 중요한데도 말이다. 선조들은 나무는 죽어서도 생기(生氣)를 주고 황토는 활기(活氣)를 준다는 사실을 깨우치고, 땅의 습기와 동결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목재와 황토를 활용하여 한옥을 지었다. 한옥은 기단이 높아 땅으로부터 습기와 동결 현상을 피할 수 있으며, 황토와 짚의 구성이 자정작용을 하여 실내의 습도와 온도 등을 조절해 주어, 쾌적한 주거환경을 유지할 수 있게 해준다.
신라 때 최치원은 자연의 섭리와 이치를 통찰하고 기(氣)의 생성 원리를 명쾌하게 설명했다. 난랑비 서문(鸞郎碑 序文)에서 나라에 현묘(玄妙)한 도(道)가 있으니 이를 풍류(風流)라고 밝혔다. 그 뜻은 신비스러운 자연의 섭리와 이치를 깨닫고 자연과 함께 멋스럽게 아우러져야 한다는 가르침이다. 최치원은 이 경지에 이르게 되는 이치를 현빈일규(玄牝一竅)로 설명했다. 현빈일규(玄牝一竅)에서 ‘玄’ 자는 천기(天氣)를 뜻하며 양기(陽氣)를 상징한다. ‘牝’ 자는 지기(地氣)를 뜻하며 음기(陰氣)를 상징한다. ‘竅’ 자는 구멍을 뜻한다. 천기(天氣)와 지기(地氣) 사이 공간에 합(合)을 이루면 ‘하나의 구멍’이 생기며, 그곳에서 기(氣)가 머무르고 교감이 그치지 않는다는 것이다. 최치원이 ‘하나의 구멍’에서 기(氣)가 머문다고 한 뜻은 어떤 의미일까? ‘하나의 구멍’을 과학적인 방법으로 비유하여 설명하자면, A 지점과 B 지점에서 무전기(無電機)로 교신하려고 한다고 하자. 그렇게 하려면 우선 무전기의 주파수가 연결되어야 하는 것처럼, 천기(天氣)인 우주의 주파수와 지기(地氣)인 땅의 주파수가 연결되면, 그 선(線)으로 에너지가 왕래하는 것과 같은 이치다. 자연의 영향을
윤석열 대통령은 8일 카타르 월드컵 16강전을 마치고 귀국하는 축구 구가대표팀과 만찬을 한다. 당초 오찬 가능성이 언급됐으나 대표님 사정 등을 고려해 일정을 조정한 것으로, 만찬에서 윤 대통령은 선수들의 노고를 격려할 것으로 보인다. 대통령실 이재명 부대변인은 7일 “윤 대통령 부부가 내일 저녁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님을 초청해 만찬과 함께 격려할 예정”이라고 했다. 이 부대변인은 "국가대표팀은 2010년 이후 두 번째로 원정 16강을 달성했다"며 "윤 대통령은 세계 최정상 팀을 상대로 끝까지 포기하지 않고 투혼을 보인 선수들과 코치진에 국민을 대신해 감사 인사를 전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국민을 하나로 만든 열정과 노력을 잊지 않고 새기는 자리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앞서 김은혜 홍보수석은 전날 브리핑에서 "아마 이르면 모레(8일) 오찬 시간을 가지게 될 것을 희망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대통령실 관계자는 통화에서 "선수들의 컨디션이 중요하고 입국 경로도 복잡해 행사 시기를 확정하지 않은 상황이었다"며 "이르면 8일이라고 한 것도 그런 이유"라고 설명했다. 대한축구협회는 6일 "2022 카타르 월드컵 일정을 마친 한국 선수단
한국 축구가 포르투갈에 역전승을 거두면서 12년 만에 월드컵 16강 진출에 나선다. 한국은 3일(한국시각) 카타르 알라이얀의 에듀케이션시티 스타디움에서 열린 카타르월드컵 조별리그 H조 3차전에서 포르투갈을 2-1로 물리쳤다. 후반 46분에 터진 황희찬의 극장골로 2-1 짜릿한 역전승을 거둔 것이다. 지난 2010년 남아공 월드컵 이후 12년 만의 조별리그 통과다. 벤투호는 전반 5분 히카르두 오르타에게 선제골을 내준 뒤 전반 27분 김영권(울산)이 동점골을 뽑아 승부를 원점으로 돌렸다. 이후 무승부로 끝날 듯하던 한국은 후반 46분 포르투갈의 코너킥 공격을 차단한 뒤 손흥민의 개인 드리블 돌파로 상대 문전까지 전진했다. 손흥민은 정확하게 황희찬에게 패스했고 골키퍼와 1대1 상황을 맞이한 황희찬은 침착하게 슈팅, 포르투갈 골망을 흔들었다. 리드를 잡은 한국은 공격수 조규성을 빼고 수비수 조유민을 투입하면서 뒷문을 강화했다. 한국은 남은 시간 포르투갈의 공격을 차분하게 막아내면서 승리를 따냈다. 한국의 16강 상대는 월드컵 최다(5회) 우승국인 세계 최강 브라질이다. 브라질은 이날 카메룬에 0-1로 졌지만 2승 1패로 G조 1위를 차지하고 16강에 올랐다. 세르
우리나라 역사(歷史)를 살펴보면, 한민족은 수많은 외침에 시달리거나 그런 침략자들 앞에서 보여준 것은 나약한 모습뿐이었다, 이런 기록들만 보면서 “이것이 우리 민족의 자화상이다”라고 생각할 수밖에 없게 됐다. 언제부터 이런 역사가 우리에게 새겨졌을까? 정말로 우리 민족은 나약하기만 했을까? 라는 궁금증이 생기면서 한민족의 문화사상에 대한 역사서를 다시 들여다보았다. 한민족에서 전해 내려오던 선도(仙道)는 인류문명의 시원을 이루어 낸 여타 성현(聖賢)들의 가르침 내용보다 시대적으로 훨씬 앞서 있음을 잘 설명해 주고 있다. 이처럼 선조들은 선비정신의 품성(品性)을 중시하고 올바른 예절과 학문을 바탕으로 덕행을 실천했다. 그래서 ‘바람이 불면 부는 대로, 물이 흐르면 흐르는 대로’ 순리에 따라 사는 자연스러움과 멋스러움이 있었다. 고조선 3세 단군 가륵(嘉勒)은 천하의 대본은 내 마음의 중도일심(中道一心) 자리에 있다며, 중정(中正)과 일심[中一]의 도(道)를 이루기 위해서는 ‘아비는 마땅히 자애롭고, 자식은 마땅히 효도하며, 임금은 마땅히 의롭고, 신하는 마땅히 충성하며, 부부는 마땅히 서로 공경하고, 형제는 마땅히 서로 우애하고, 노인과 젊은이가 마땅히 차례를
자연계로부터 인간에게 주어진 수명은 대략 120년쯤 된다는 게 학자들의 지배적인 견해이다. 이러한 기간을 쓸 수 있도록 설계된 ‘정밀한 기계장치’가 실제로 그 기간만큼 사용하는 사람은 극히 드물다는 사실은 뭘 말하는 것일까? 그래서 선조들은 먼저 자연계의 이치를 숙지하고 나서, 인체의 속성을 충분히 숙지하면서 인체를 운용하는 마음, 즉 마음 수련을 하라고 강조한 것이다. 서양의학은 질병의 원인을 설명할 때 분석적·미시적 관점에서 파악하는 데 반해 동양의학은 종합적·거시적 경향이 짙다. 선조들은 세상 만물의 기본 바탕을 ‘수(水)·목(木)·화(火)·토(土)·금(金)’으로 구분하고, 보이지 않는 정신적 요소를 ‘성(性)·령(靈)·정(精)·기(氣)·신(神)’으로 구분하고, 이들을 짝을 지어 ‘목성(木性)·토령(土靈)·수정(水精)·금기(金氣)·화신(火神)’으로 배정(配定)했다. 서양의학은 현미경 발달로 많은 세균 존재를 발견하게 되었고, 세균의 종류와 특징에 대해 밝힌 점은 높이 평가받을 만하다. 그러나 서양 의학자들이 ‘바이러스나 세균’ 때문에, 질병이 발생하는 원인이 된다는 것은 분석적인 관점일 뿐이다. 현재 매우 따른 산업화로 인구가 도시로 집중되는 상황이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