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의 민요에 “나는 살고 있다. 그러나 나의 목숨의 길이는 모른다”는 것이 있다. 그런데, 자신이 어디서 와서 어디로 가는지 모르고, 무엇을 위해 살고 있는지 모르고, 또 지금 어디에 있는지도 모르면서도 알려고 애쓰는 사람은 그리 많지 많다. 하지만, 모두들 자기 나이에 대해서는 조금은 민감하다. 오래 살았느냐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어떻게 살았느냐가 중요하다. 또 몇 해 동안 어떤 일을하며 살아왔는지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몇 해 동안 어떤 보람있는 일을 하며 살아왔는지가 중요하다. 바꾸어 말하면, 얼마만큼 나잇값을 하며 겸손하게 말과 행동을 바르게 하며 살아왔고, 나이를 먹어 가면서 이승이 아닌 다른 세상을 향해가면서 바른 노자로 준비를 하는지가 중요하다. 문제는 나잇값이다. “나잇값을 해라, 나이 헛먹었나”라고 하는 말이 있다. 이는 나잇값이 비운 밥그릇 숫자에 따라 그냥 거저 얻어진 헐값이 아니라는 것이다. 나이는 그 나름대로 상당한 값이 나간다. 고래로 언제 어디서나 변치 않는 진리다. 나이가 많은 분에게 함부로 대하다간 큰코 다치기도 한다. 그래서 어떤 경우에도 나이가 많은 것은 적은 것보다는 그냥 값이 더 나갈 수 있다. 그렇다 하더라도 인격은
사람마다 다소 차이는 있을 수 있지만, 누구나 자신만의 독선의 창을 통해서 무엇을 보고 느낀다. 이것은 자신의 삶의 과정에서 형성된 것으로 남이 이야기 한다고 그리 쉽게 바뀌지 않는다. 특히, 남들을 받들기보다 남들로부터 받들려져 온 삶에서, 남의 간섭을 그다지 받지 않은 사람들에게 독선의 창이 많이 나타난다. 예를 들면 공양이나 봉헌 등에 단 한 번도 빠지거나 지각하는 일이 없이 정진하는, 속세를 멀리한 일부 수도자, 즉 신망을 받고 있는 신부님·수녀님·스님·목사님 등에게 많이 나타난다. 또한, 자신의 글과 말만 보았을 때에 인격에 조금의 흐트러짐도 없어 보이는 일부 문필가나 학자 등에게 많이 나타난다. 그리고 사회적 선망의 지위에 이르러 많은 사람들로부터 부러움을 받고 있는 일부 국회의원·장차관·판검사 등에게 많이 나타난다. 이들은 대체로 현실 세계의 일반인이 가지는 보편타당성이 결여된 독특한 독선의 창을 가지고 있다. 사람은 누구나 마찬가지다. 자신이 생각하고 싶은 대로만 생각하고, 자신이 말하고 싶은 대로만 말하고, 자신이 듣고 싶은 대로만 듣고, 자신이 행동하고 싶은 대로만 행동하는 것을 원한다. 이는 남을 의식하는 것이 부족한 상태에서 비롯되며,
코로나 바이러스가 만연하던 근간에 어느 특정 국가가 백신을 생산할 수 있다는 것은 그 어느 나라보다 큰 국력의 패권의 국가가 된 것과 마찬가지였다. 그래서 강대국은 반도체, 바이오 및 기초과학 기술 등의 핵심 전략 분야의 기술력이 국력의 새로운 기준으로 부상함에 따라 그 주도권을 쟁취하기 위해 혈안이다. 이런 가운데 삼성전자 이재용 부회장은 글로벌 시장의 여러 가지 혼돈, 변화, 불확실성을 극복하는 길에 과학기술이 가장 중요하다는 것을 인식하고 “첫째도 기술, 둘째도 기술, 셋째도 기술”이라며 기술 초격차를 강조하였다. 이제 세계는 군사력이 국가를 보호하는 국력이라고 여기던 시대를 지나서, 기술력이 국가를 보호하는 국력으로 여기는 시대로 들어선 것이다. 중국은 글로벌 시장에 반제품과 완제품을 공급하는 공장의 역할을 하며, 근간에 경제적으로 비약적인 성장을 이루었다. 하지만 중국은 이와 같은 산업 체제로는 더 이상의 성장에 한계가 있다는 점을 절실히 느끼고 온갖 불법과 탈법을 동원해서라도 선진국의 기술을 도취(盜取)하고 글로벌 인재를 유치하려고 노력하였다. 특히, 전자 산업에 필수불가결한 반도체 산업을 육성하고자 천문학적 자금을 투입하였고, 반도체 기술의 글로
“제 버릇 개(犬) 주겄소” “하나를 보면 열을 안다” 예로부터 전해오는 속담(俗談)을 접하면서, 선대(先代)의 혜안(慧眼)에 새삼 감탄을 하게 된다. 그 감탄을 뒤로 하고... 요즈음 세간에서 뜨거운 얘깃거리가 지난 2020년 9월 서해 연평도 해역에서 발생한 ‘해양수산부 공무원 피살사건’이다. 어찌 보면 화제(話題)라고 하기도 민망하다. ‘문주주의’(文主主義)의 특질(特質)을 경험으로 학습한 많은 국민은 이미 그 사건의 속내, 즉 배경과 전개에 대한 ‘왜’를 알고 있다. 이제 와서 다시 불거진 이유까지도. “이번 비극이 대화와 협력의 기회를 만들고, 남북관계를 진전시키는 계기로 반전되길 바란다...” 지금은 저 양산(梁山) 시골 마을의 농부가 됐다는 양반이 당시(2020년 9월)에 내뱉은 말씀이란다. 진심이 배어 있질 않던가. 그리고... “그게 왜 현안이냐. 국민들 먹고 사는 문제가 급하다...” “이런 식으로 남과 북 사이에 있었던 일들을 모두 공개하고, 쟁점화하면 남북대화를 어떻게 하겠다는 건가” “이게 무슨 짓이냐, 아무것도 아닌 일로...” 엊그제 짖어댄 ‘그 당’ 문주주의자(文主主義者)들의 말씀들이다. 여러 가지를 들이대지 않아도 그 사건의 여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세상을 살아가면서 재물과 존경이 모두 주어지기를 바란다. 하지만 두 가지 모두가 주어지는 일은 아주 드물다. 원래 재물이라는 것은 사람들이 보람되게 쓸 것을 기대하고 하늘이 잠시 맡겨둔 것이다. 그런데 사람들은 하늘이 잠시 맡겨둔 것을 잊고 재물을 가질수록 더 많이 가지려고 수전노가 되어 간다. 대부분의 많이 가진 사람들이 주위의 가지지 못한 사람들에게 내놓아 베풀고 또 도움이 되는 데 인색하다는 세상의 평가만 남긴 채 손에 한 푼도 가지지 못하고 떠난다. 그래서 많이 가진 사람들인 부자가 천국에 가는 것이 낙타가 바늘구멍을 빠져나가는 것보다 어렵다고 하였는지 모른다. 재물은 화려한 꽃과 같다. 화려한 빛을 가진 꽃에 많은 벌과 나비가 모여들 듯이 재물을 많이 가진 사람들에게도 많은 사람들이 모여든다. 하지만 모여든 사람들이 많이 가진 사람을 존경하는 것은 아니다. 재물을 내놓아 베풀지 못해도 존경을 받는 성직자와 정치가들이 있지만, 많이 가진 사람들은 제물을 내놓아 베풀어 존경을 얻을 수 있다. 이는 재물이 가진 본분을 잊지 않고 행하였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성직자 및 정치가는 목숨까지 내놓으면서 사람들로부터 존경을 얻지만, 많이 가
대구 중심가에 있는 반월당역 바로 지근인 남산동에는 천주교 성지의 하나인 관덕정이 있다. 관덕정에는 100년 이상에 걸쳐 땅속에 잠들어 있었던 척화비를, 인근의 쇼핑센터 건립시 터파기 하면서 발견하고 수습하여 현재 건물의 입구에 세워두고 있다. 척화비에는 "洋夷侵犯(양이침범) 非戰則和(비전즉화) 主和賣國(주화매국)"이라 적혀 있다. 척화비는 병인양요에서 양헌수가 정족산 전투에서 승리하고, 신미양요에서 미국의 제너럴셔먼호를 대동강에서 불태워 버린 후에 쇄국정책을 통한 왕권 강화를 위해 대원군이 1871년에 전국 각지에 세웠던 것이다. 그런데 대원군이 왕권 강화를 위해 척화비를 세운지 얼마지 않은 1875년에 운요호(雲揚號) 사건이 일어나고 강화도 조약이 체결되었다. 이 때를 기점으로 조선왕조는 걷잡을 수 없이 무너져 갔고 국토는 피폐해져 갔다. 물론 수많은 백성이 가난과 굶주림, 그리고 질병 등으로 죽어갔다. 1894년에는 우금치 전투에서 신식 기관총으로 무장한 일본군에 구식무기 및 죽창으로 무장한 2만의 동학군이 마치 학살을 당하듯이 죽어갔다. 그 당시의 조정은 세계정세의 변화를 거의 깨치지 못하고 정저지와(井中之蛙) 같이 국정을 운영하였다. 물론 재정도 탕
성경 창세기에 불경한 죄를 저지르고 타락한 소돔과 고모라는 시비를 말할 수 있는 10명의 의인조차 없어서 멸망을 한다. 아브라함의 긍휼을 베풀어 달라는 간청에도 불구하고 멸망을 당하는데 현재의 세상도 마찬가지다. 법가의 사상을 집대성한 중국 전국시대 말기의 정치사상가인 한비자는 “국가의 안위는 국정의 시비에 달렸다”고 했다. 하지만 공산화의 길을 갔던지 아니면 흥망을 달리했던 대다수의 나라들은 대통령을 포함한 지도층이 국정의 시비를 말하기보다, 온갖 교언으로 아첨하는 무리에게만 승진과 출세의 자리를 열어주고 재물도 챙길 수 있도록 하였다. 그 결과, 세상의 부패에 대해 그 시비를 말할 수 있는 의인은 은폐되었고, 큰일은 도모하지 못하면서 이익만 쫓아 움직이며 허황된 말로 대통령을 포함한 지도층을 기쁘게 하는 간인(奸人)들을 진출시키다 정권이 멸망하였다. 오랜 역사에 있어서, 대체적으로 간인은 말을 화려하게 하지만 생각은 얕고 사실보다 꾸밈에 더 신경을 쓴다. 반면에 의인은 말을 단순하게 하지만 생각이 깊고 꾸밈보다 사실에 더 신경을 쓴다. 또한 간인은 달변인 자가 많은 반면에, 의인은 달변보다 눌변인 자가 많다. 이는 생각의 깊이에서 비롯된 것이다. 특히 많
조선 시대에 미색으로 이름을 날린 여인이 여럿이 있다. 그 중에서도 황진이와 어우동은 어떤 면에서 너무나 대비가 된다. 그리고 이 두 여인에게는 남자가 있었는데, 황진이에게는 화담(花潭) 서경덕이고, 어우동에게는 방산수(方山守) 이난이다. 황진이는 지족선사를 파계시켰지만 화담은 평생 스승으로 존경하였다. 어우동은 태강수 이동과 혼인하였으나, 방산수 이난 등과 난잡한 관계를 가졌다. 조선 여인 중에서 이 두 여인은 크게 대비가 되지만, 이들이 상대한 남자 화담과 방산수에 대해서는 사람들은 잘 모르고 있다. 잘 살펴보면, 황진이는 유교사회인 조선에서 가련한 여인에, 또 서경덕은 절조를 지킨 선비에 비유될 수 있다. 그리고 어우동은 꽃뱀에, 또 이난은 제비족에 비유될 수 있다. 지금의 시대에 이런 미색의 두 여인, 황진이 및 어우동 같은 이가 나타났을 때, 사람들은 화담이 될 것인지 방산수가 될 것인지 어떤 선택을 해야 한다. 이 두 여인에 비유될 수 있는 기개와 절조 및 명예와 부귀 앞에 화담이 될 것인지 방산수가 될 것인지 선택해야 할지 모른다. 그런데, 작금의 주변을 살펴보면 어려운 길을 가야하는 화담이 되기보다는 쉬운 길을 가게 되는 방산수가 되고자 하는
속설(俗說) 중에... 인류 역사상 ‘가장 오래된 직업’이 두 가지가 있다고 했다. 추측컨대 인간의 원초적인 욕망(欲望)과 깊게 연관이 있을 듯하다. 그 하나는 몸을 파는 것이란다. 매춘(賣春), 즉 창녀(娼女)를 일컫는다. 널리 알려져 있으니 그건 그렇다 치자. 다른 하나도 일종의 파는 일이다. 남의 비밀을 몰래 살펴 모아서 필요로 하는 작자에게 제공한다. 스파이, 첩자, 정보원 등등으로 불린다. 현대 사회에 이르러 개인들 사이에서는 크게 환영받지 못할 수도 있다. 반면에, 국가적인 차원이라면 매우 중요한 가치를 갖는 직업 중의 하나라고 평가받는다. 그래서 그런지... 국가의 각급 정보기관과 정보요원에게는 직위의 상하를 불문하고 엄격한 최종의 ‘직업윤리’(職業倫理)가 있다고들 한다. 오가다 얻어들은 풍월이다. 인간에겐 매우 크고 중요한 욕망이 있다고 했다. 자신이 갖고 있는 이런저런 것들을 널리 알려서 남들에게 주목을 받거나, 이득을 취하려고 한다. 자신의 존재감을 과시하려는 경우도 왕왕 있단다. 인지상정(人之常情)이라고나 할까. 그러나... 나라의 정보요원들은 그 욕망을 억눌러야 한다. 아니, 아예 그 욕망을 없애야 한다질 않던가. 심하게는 무덤 입구에
중국 고사에 보면 “바른 군(君)이 있는데 위태로운 나라는 없다"는 말이 있다. 하지만, 고금을 막론하고 아무리 바른 군(君)이었다 하더라도 '바른 신(臣)'이 나오고 '나쁜 신'도 나오는 법이다. 공자는 여러 나라에서 바른 군과 신의 도리를 설파하면서 나라에 해로운 여섯가지의 신과 반대로 나라에 이로운 여섯 가지 신의 유형을 “육사신(六邪臣)”과 “육정신(六正臣)”으로 나누었다. 육사신의 경우, 역할은 제대로 못하면서 자리만 꿰차고 있는 구신(具臣)이 있고, 아첨만 하는 유신(諛臣)이 있고, 남을 잘 헐뜯고 참소를 일삼는 참신(讒臣)이 있고, 반역을 허거나 불충스러운 적신(賊臣)이 있고, 나라를 망하게 하는 망신(亡臣)이 있고, 그리고 마지막으로 권모술수와 간언을 서슴치 않는 간신(奸臣)이 있다. 이와 반대되는 육정신의 경우, 인격이 고매한 성신(聖臣)이 있고, 마음 씀씀이가 어진 양신(良臣)이 있고, 충성심으로 가득 찬 충신(忠臣)이 있고, 매사에 지혜로이 보좌하는 지신(智臣)이 있고, 지조가 곧고 바른 정신(貞臣)이 있고, 그리고 마지막으로 성품이 강직한 직신(直臣)이 있다. 예전의 역사에서도 군 그 자신의 무능과 부덕으로 백성의 삶을 도탄에 빠지게 하